희망기구소식

희망기구소식

미래희망기구의 소식 입니다.

제24기 유엔 전문가 교육 발표회 및 수료식

조회 : 60, 등록일 : 2025/10/01 09:55
안녕하세요, (사)미래희망기구입니다.

2025년 8월 9일(토), 제24기 유엔 전문가 교육의 마지막 일정인 SDGs 발표회 및 수료식이 서울 대원외국어고등학교 컨퍼런스룸에서 개최되었습니다. 무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부모님과 학생들이 참석해주셨으며, 4박 5일간의 교육 여정을 함께 마무리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습니다.

On Saturday, August 9, 2025, the final event of the 24th Training Program on the United Nations and the SDGs was held at the Conference Room of Daewo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in Seoul. Many students and parents gathered to celebrate the conclusion of a transformative 5-day program.

이번 발표회는 교육 기간 동안의 학습과 토론을 바탕으로 대표단 학생들이 세계시민(global citizen)으로서의 관점에서 도출한 문제의식과 청소년 수준의 창의적인 해결 방안을 제안하는 자리였습니다. 주제는 교육, 경제, 인권, 환경 등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분야를 아우르며, 깊이 있는 분석과 다양한 시각이 담긴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In this final event, student delegates presented issues they identified through the lens of global citizenship, offering youth-centered and creative solutions related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emes included education, economy, human rights, and environment, and each presentation reflected deep analysis and collaborative innovation.

심사위원단으로는 이지홍 대표(Connected Lab, 前 유네스코 아태국제이해교육원 연수실장), 김찬미 교수(서울대학교), Kevin Mitchell 교수(중앙대학교)께서 함께해주셔서 발표에 대한 전문적이고 날카로운 피드백을 전해주셨습니다.

The panel of judges included Jihong Lee, CEO of Connected Lab (Former Director, UNESCO APCEIU), Professor Chanmi Ki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Professor Kevin Mitchell (Chung-Ang University), who provided valuable feedback and encouragement to all teams.


Team 1 - Urbanization in South Asia: Tackling the Rural-Urban Education Disparity Threatening Equal Opportunity and Cultural Diversity
(발표자: 박최성, 이슬람 이쉬랏 마자빈, 정나리, 최민조)


Team 1은 교육이 지속가능한 발전의 핵심임을 강조하며, 남아시아 지역의 도농 간 교육 격차가 어떻게 평등한 기회와 문화 다양성을 위협하는지 분석했습니다. 구조적·제도적 장벽은 물론, 문화적 요인까지 고려한 후 실현 가능한 해결 방안을 제안하였고, 이에 대한 교육 전문가 분들과의 질의응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Team 1 explored how educational inequality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in South Asia threatens equal opportunity and cultural diversity. By identifying structural, cultural, and policy-based barriers, they proposed practical solutions to close the gap and had an inspiring talk with experts.

 Team 2 - Preser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r Economic Growth
(발표자: 강초아, 윤지안, 이승, 지에델라인, 김도연)


Team 2는 네팔과 우간다 사례를 중심으로 무형문화유산 보존이 지역 일자리 창출, 공동체 회복력 강화, 불평등 완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설명했습니다. 경제 성장의 수단이자 공동체 정체성 회복의 방식으로서 문화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발표였습니다.

Team 2 highlighted how safeguar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developing countries like Nepal and Uganda contributes not only to job creation but also to reducing inequality and building resilient communities. They emphasized culture as a catalyst for inclusive economic growth in relation with several SDGs.

 Team 3 - Youth Efforts to Tackle Digital Inequality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Protecting the Rights to Education and Labor
(발표자: 이시우, 박다니엘, 강서윤, 장유찬)


Team 3은 인터넷이나 전자기기 접근의 격차와 디지털 환경의 불균형이 청년층의 교육권 및 노동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내용을 발표하였습니다. 특히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불평등에 대응하기 위한 청소년 수준의 세 가지 대안을 소개하며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자세를 보여주었습니다.

Team 3 addressed digital inequality emerging in the AI-driven era, focusing on limited access to devices and entry-level job decline as major threats to the rights to education and labor. They proposed three youth-led solutions to protect digital rights in an increasingly intelligent society.

 Team 4 - Adaptive Strategies and Solutions for Sea Level Rise: Environmental Science and Architecture
(발표자: 장하루, 윤경섭, 구건우, 김온전, 김예은)


Team 4는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문제를 중심으로,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기후 취약성 차이와 이에 따른 적응 전략을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특히 건축 설계 기반의 대응 전략을 제안하며, 환경과 기술을 융합한 지속가능한 해결 방안을 모색한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Team 4 analyzed the impact of rising sea levels, comparing the vulnerability and response capacity of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They proposed architectural design-based adaptation strategies as innovative and sustainable solutions to climate challenges.

모든 대표단 학생들에게 수료증이 수여되었으며, 대상을 수상한 Team 4 학생들에게는 상패와 해외 연수를 위한 소정의 장학금이 전해졌습니다.

Following the presentations, all students received certificates of completion, and Team 4, the recipient of the Grand Prize, was awarded a plaque and a scholarship to support their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youth leadership program abroad.


이번 발표회를 통해 학생들은 단순히 국제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 알고 토의하는 것을 넘어,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대안을 설계하는 세계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기를 수 있었으리라 생각합니다.

미래희망기구는 앞으로도 이들이 배움과 참여를 통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나갈 수 있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Through this final presentation session, the students not only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global issues but also demonstrated their capacity to identify problems independently and propose creative solutions as empowered global citizens.

Hope to the Future Association remains committed to supporting and encouraging youth in their journey to build a better world through learning, engagement, and action.
 글수 472Page 1 / 48
제24기 유엔 전문가 교육 발표회 및 수료식
이번 발표회는 교육 기간 동안의 학습과 토론을 바탕으로 대표단 학생들이 세계시민(global citizen)으로서의 관점에서 도출한 문제의식과 청소년 수준의 창의적인 해결 방안을 제안하는 자리였습니다. 주제는 교육, 경제, 인권, 환경 등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분야를 아우르며, 깊이 있는 분석과 다양한 시각이 담긴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조회:61 2025/10/01
제24기 유엔 전문가 교육 Day 4 Briefing
8월 8일(금), 제24기 유엔 전문가 교육의 4일차 일정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대표단 학생들은 안보, 경제, 인권, 성평등, 공공외교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 세션에 참여하며, 국제사회의 주요한 도전 과제에 대한 이해를 더욱 넓힐 수 있었습니다.
조회:49 2025/09/30
제24기 유엔 전문가 교육 Day 3 Briefing
8월 7일(목), 제24기 유엔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의 3일차 일정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오늘도 대표단 학생들은 다양한 글로벌 과제를 주제로 한 전문 강연에 몰입하며, 국제사회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해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함께 해주신 모든 연사님들과 성실하게 참여해 준 학생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조회:37 2025/09/30
제24기 유엔 전문가 교육 Day 2 Briefing
8월 6일(수), 제24기 유엔 전문가 교육이 2일차를 맞아 진행되었습니다. 대표단 학생들은 국제사회가 마주한 여러 과제를 탐구하며, 각국 전문가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였습니다. 모든 세션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준 학생들과 해외에서 온라인으로 참여해주신 연사님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조회:46 2025/09/30
제24기 유엔 전문가 교육 Day 1 Briefing
지난 8월 5일(화)부터 9일(토)까지, 4박 5일동안 제24기 유엔 전문가 교육이 온라인(Zoom)을 통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유엔 본부를 비롯해 전 세계 11개국에서 활동 중인 국제기구 전문가들과의 만남을 통해, 국제사회의 주요 이슈를 심도 있게 학습하고,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시야를 넓힐 수 있었습니다.
조회:46 2025/09/30
인천세계로배움학교 2025 학생 주도형 국제교류 아카데미 활동일지 | Day 5~7
(사)미래희망기구는 인천광역시교육청 동아시아국제교육원과 함께 인천시 관내 고등학생 20명을 인솔하여 '학생 주도형 국제교류 아카데미'를 진행하였습니다. 이 과정은 인천시 청소년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읽고, 배운 것을 실제 국제사회로 시야를 확장하여 적용하고, 다시 지역으로 돌아와 삶 속에서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유엔 고위급정치포럼(HLPF) 본회의 참관, 공식 부대행사(side event) 개최, 유엔 현직자 간담회, 국제기구 사무국 방문, 미국 문화탐방 등의 커리큘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조회:299 2025/07/24
인천세계로배움학교 2025 학생 주도형 국제교류 아카데미 활동일지 | Day 1~4
본 프로그램은 ‘학생 주도형 국제교류 아카데미’로, 인천시 청소년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읽고, 배운 것을 실제 국제사회로 시야를 확장하여 적용하고, 다시 돌아와 자신의 삶 속에서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한 과정입니다. 주요 커리큘럼으로는 유엔 고위급정치포럼(HLPF) 본회의 참관, 공식 부대행사(side event) 개최, 유엔 현직자 간담회, 국제기구 사무국 방문, 미국 문화탐방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조회:217 2025/07/24
제51회 예일대학교 모의유엔대회 대표단 활동일지
제51회 예일대학교 모의유엔대회에 참여하는 미래희망기구 청소년 대표단의 모습입니다. 인권, 교육, 환경, 군축 등 국제사회의 수많은 도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직접 고민해보고, 각국을 대표하는 대사가 되어 발제하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새 학기를 앞둔 중요한 시기에 아이비리그의 중심지인 예일대학교에서 멋지게 활약하고 온 대표단 학생들에게 많은 응원과 격려를 부탁드립니다.
조회:166 2025/07/24
[공지] 제51회 예일대학교 모의유엔대회 대표단 합격자 발표
매년 겨울, 예일대학교 본교에서 진행되는 모의유엔대회(Yale MUN)에 파견할 미래희망기구 대표단을 선발하여 현지로 직접 인솔하는 과정을 진행합니다. 올해에도 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의 관심으로, 모든 지원자의 지원 서류와 유선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소수의 인원만을 선발하게 되었습니다.
조회:1124 2024/12/13
제23기 유엔 전문가 교육 Day 5 발표회 및 수료식
2024년 8월 3일 토요일, 제23기 유엔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의 마지막 일정인 학생 발표회 및 수료식이 서울 대원여자고등학교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무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부모님들과 학생들이 자리를 함께해 주셨고, 4박 5일간의 여정을 마무리하는 감동적인 순간들을 함께 나누었습니다.
조회:1358 2024/08/08
  •  
1 2 3 4 5 6 7 8 9 10  다음 10"개 
SEARCH
CopyRight Since 2001-2025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digitalhan@gmail.com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