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기구소식
희망기구소식
미래희망기구의 소식 입니다.
(사)미래희망기구는 인천광역시교육청 동아시아국제교육원과 함께 인천시 관내 고등학생 20명을 인솔하여 '학생 주도형 국제교류 아카데미'를 진행하였습니다. 이 과정은 인천시 청소년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읽고, 배운 것을 실제 국제사회로 시야를 확장하여 적용하고, 다시 지역으로 돌아와 삶 속에서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유엔 고위급정치포럼(HLPF) 본회의 참관, 공식 부대행사(side event) 개최, 유엔 현직자 간담회, 국제기구 사무국 방문, 미국 문화탐방 등의 커리큘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프로그램 후반부에는 학생들의 국제사회에 대한 이해가 더욱 심화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먼저, 유엔개발계획(UNDP) 산하 인간개발보고서(Human Development Report) 사무소를 방문하여 Josefin Pasanen 연구전문관님과 곽민지 공보관님의 강의를 들었습니다. 이 강의를 통해 인간개발지수(HDI)의 구조와 계산 방식, 보고서 주제 선정 기준,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통한 주요 국제 아젠다 도출 방식 등에 대해 배웠습니다. 특히, 학생들은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신을 아는 것이 우선이다'라는 조언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인공지능(AI)이 국가별 소득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작용하는지에 대해서도 활발히 토론하였습니다.
The second half of the program offered deeper engagement with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peace issues. Students visited the Human Development Report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where they met with research officer Josefin Pasanen and communications officer Minji Kwag. The session introduced students to the methodology and real-world applications of the Human Development Index, the selection of annual report themes, and how massive data sets shape global policy agendas. The students also discussed how artificial intelligence impacts countrie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income level, and they were encouraged to reflect on the importance of self-awareness as a foundation for global leadership.




이어, 유엔 군축실(UNODA)에 재직 중인 김수현 전문관님의 강연이 이어졌습니다. 강의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무력 충돌, 동아시아 지역 내의 안보 문제 등 현재 국제사회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군축 및 안보 이슈에 대해 다루었으며, 이러한 문제들이 멀리 떨어진 한국 사회와 지구 반대편 사람들에게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Later, the group participated in a special lecture on disarmament and international security delivered by Ms. Su-Hyun Kim from the United Nations Office for Disarmament Affairs. Topics included the Russia?Ukraine war, the Israel?Hamas conflict, and security challenges in East Asia. The session highlighted how global conflicts influence the daily lives of people even in distant countries like South Korea. Students came away with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peacebuilding and the far-reaching consequences of regional instability.





7월 17일(목)에는 참가 학생들이 직접 기획하고 참여한 유엔 고위급정치포럼(HLPF) 공식 부대행사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SDG 14 '수중 생물 보호(Life Below Water)'를 중심으로 'Blue Youth: Mobilizing Students for Ocean Action in East Asia and Beyond(동아시아 및 그 밖의 지역에서 SDG 14 연계 청소년 해양 활동 준비하기)'를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본 행사는 장욱진 유엔 경제사회국(UN DESA) 국장님과 김은주 인천광역시교육청 세계시민교육과 과장님의 개회사로 시작되었으며, 도널드 리 ATD 제4세계 국제 연대 회장이자 전 UN DESA 국장님, 니콜라스 뎁스키 UNDP 기후변화연구원님, 김희웅 UN 공동 SDG 기금 보고평가전문관님, 데니스 고드윈 안토인 전 주유엔 그레나다 대사님 등 다양한 국제기구 관계자와 시민사회 리더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내주었습니다.




특히, 이번 포럼은 세대 간 통합과 다자 협력의 중요성을 조명하는 자리로, 참가단 중 대표 학생 3명(미추홀외국어고등학교 2학년 최하영, 인천예일고등학교 2학년 강혜원, 학익여자고등학교 2학년 오연후)이 발표자로 참여하여 동아시아, 대한민국, 그리고 인천 지역의 해양 생태계와 그 변화에 대해 발표하였습니다. 이들은 지역의 사례를 바탕으로 SDGs와 청소년의 역할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한 결과물을 발표하였고, 청중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받았습니다.
On July 17, students hosted an official side event at the UN High-Level Political Forum titled “Blue Youth: Mobilizing Students for Ocean Action in East Asia and Beyond.” The event featured opening remarks by Mr. Wook-jin Chang, Director of the NGO Branch at UN DESA, and Ms. Eun-Joo Kim, Director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 the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Esteemed speakers from the UN and civil society, including former Ambassador Denis Antoine, shared their expertise. Three student representatives presented on marine ecosystems in Korea and East Asia, underscoring the value of intergenerational dialogue and multilateral cooperation.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종료를 앞두고 학생들은 미국 자연사 박물관, 뉴욕 현대 미술관(MoMA), 9.11 메모리얼 파크, 센트럴파크, 록펠러 센터 전망대(Top of the Rock) 등 뉴욕의 주요 명소들을 둘러보며 문화와 예술, 역사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체험은 국제이해교육의 중요한 축으로 작용하였습니다.
긴 시간 동안 성실히 활동에 참여해준 참가단 학생들과, 프로그램이 더욱 의미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아낌없이 협조해주신 모든 관계자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사)미래희망기구는 앞으로도 청소년들이 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데 든든한 디딤돌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he program concluded with cultural visits to New York landmarks such as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MoMA, and the 9/11 Memorial, offering students a well-rounded experience that combined education, diplomacy, and global citizenship.


[조별 단체사진]

[1조 - 이건희, 김송현, 조민주, 강혜원]

[2조 - 문지현, 오연후, 이주현, 김재은]

[3조 - 조이은, 신혜민, 윤찬, 윤예원]

[4조 - 박강습, 김서영, 조은결, 문정빈]

[5조 - 이건하, 최하영, 윤초이, 박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