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기구소식
희망기구소식
미래희망기구의 소식 입니다.
안녕하세요, (사)미래희망기구입니다.
2024년 8월 3일 토요일, 제23기 유엔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의 마지막 일정인 학생 발표회 및 수료식이 서울 대원여자고등학교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무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부모님들과 학생들이 자리를 함께해 주셨고, 4박 5일간의 여정을 마무리하는 감동적인 순간들을 함께 나누었습니다.
On Saturday, August 3, 2024, the final event of the 23rd UN Expert Training Program was held at Daewon Girls’ High School in Seoul?a celebration marking the conclusion of a week filled with learning, dialogue, and transformation.
The event gathered students, parents, and mentors to witness the outcomes of the participants' hard work, culminating in team presentations and the official closing ceremony.
발표회에서는 참가 학생들이 지난 교육을 통해 얻은 지식과 통찰을 바탕으로 세계 시민으로서의 관점에서 도출한 문제의식과 해결 방안을 팀별로 공유하였습니다. 주제는 환경, 인권, 교육, 난민, 젠더, 농업 등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직결된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며, 깊이 있는 분석과 창의적인 접근이 돋보였습니다.
Each student team presented their research and ideas on global challenges aligned with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From environmental issues to human rights, refugees, gender equality, and climate action, students demonstrated remarkable depth of analysis and creativity in solution-building.


Team 4는 "플라스틱 오염과 기후 변화가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The Combined Impact of Plastic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on the Ocean Environment)"을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플라스틱 오염과 기후 변화가 해양 환경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심도 있게 다루었으며, 두 가지 문제의 상호작용이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심각한 결과를 조명했습니다.
Analyzed the compounding effects of plastic waste and climate shifts on marine ecosystems, calling for policy reforms and public awareness campaigns.
발표자 명단: 구자현, 박성현, 신은서, 정보라

Team 5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지역의 난민 문제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Addressing Media Bias to Enhance Support for Refugees Affected by the Israel-Palestine Conflict)"을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이 발표에서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핵심 문제 중 하나인 난민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온라인 기사나 유튜브 영상 등의 미디어 자료가 시민들의 확증편향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창의적으로 접근하였습니다.
Explored how biased media content shapes public opinion on refugees, advocating for media literacy as a tool to foster empathy and informed support.
발표자 명단: 김사빈, 박이우, 윤시아, 이보미

Team 1은 "미래를 위한 힘: 인권 침해 해소를 위한 교육의 역할(Empowering Futures: Education as a Catalyst for Human Rights)"을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특히, 어린이 및 청소년들의 교육 받을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설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더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인권 문제 해결에 있어 교육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다루었습니다.
Focused on the essential role of education in addressing human rights violations and building equitable societies, especially for children and youth.
발표자 명단: 서지우, 양지연, 이은진

Team 2는 "교육 격차 해소와 과학기술의 응용(Application of Technology and Its Utility in Bridging Educational Gaps)"을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이 발표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AI 등의 이용이 교육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학습 자원을 효과적으로 분배하며,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에게 맞춤형 학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흐름으로 진행되었습니다.
Highlighted how AI and technology can reduce educational inequality, increase accessibility, and provide personalized learning for students from diverse backgrounds.
발표자 명단: 김다안, 김동휘, 박정후, 손준원, 정지율

Team 9는 "자연재해가 남아시아 난민 정착지에 미치는 어려음과 그 영향(Difficulties and Impacts of Natural Disasters on South Asian Region Refugees in Different Types of Settlements)"을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이 발표에서는 아시아 지역의 여러 난민촌이 자연재해로 인해 겪어온 어려움을 분석하였으며, 난민촌의 생성 배경, 지역적 특징, 수용소 재질 등을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Analyzed the vulnerability of refugee camps in disaster-prone regions and proposed localized, resilient approaches to humanitarian aid.
발표자 명단: 김현, 박서진, 전수빈, 정예헌

Team 3은 "무(無)문자 소수민족을 위한 양질의 교육(Education for Minority Groups with No Written Letter)"을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이 발표에서는 소수민족들이 교육을 받을 때 직면하는 도전과제와, 효과적인 교육 전략을 제시하며 문자가 없는 문화권에서 교육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Addressed challenges in delivering quality education to oral-language communities, offering creative, culturally sensitive solutions using visual and auditory tools.
발표자 명단: 김서연, 김아인, 정다현, 정예원

Team 7은 "제주도 해양 생물다양성 감소(Loss of Marine Biodiversity in Jeju Island)"를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이 발표에서는 제주도 해양 생물 다양성의 감소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었습니다. 팀원들은 제주도 해역의 주요 해양 생물 종과 그들의 서식지, 그리고 생물 다양성 감소의 원인과 영향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Identified causes and consequences of biodiversity loss in Korea’s coastal region, proposing community-led conservation strategies.
발표자 명단: 김하랑, 윤환희, 이서현, 이태은

Team 6은 "기후변화로 인한 네팔 농업 소득의 불안정성(Instability in Nepal’s Agricultural Income due to Climate Change)"를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이 발표에서는 개발도상국의 주요 GDP 원천이 1차산업이라는 점에서 기인하여, 기후 변화가 네팔 농업 소득에 미치는 불안정성을 다루었습니다. 팀원들은 기상 이변과 그로 인한 농작물 생산의 변동성, 그리고 이러한 변동이 농민들의 경제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했습니다.
Discussed how erratic weather and climate impacts destabilize agricultural output and rural livelihoods, emphasizing the need for economic safety nets.
발표자 명단: 김준호, 신보미, 유혜수, 최우진

Team 8은 "성평등에 대한 다각적 분석(A Multifaceted Analysis of Gender Equality)"를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이 발표에서는 성평등 문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습니다. 팀원들은 성평등의 정의와 역사적 배경, 현재의 성평등 상태, 그리고 이를 둘러싼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다루었습니다.
Provided a comprehensive view on gender equality through historical,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lenses, offering cross-sector policy solutions.
발표자 명단: 강희림, 김지효, 박수빈, 백지윤, 손성원

모든 참가자에게 수료증이 전달되었으며, 심사위원단의 총평과 함께 대상 수상 팀(Team 2)에게는 특별한 혜택이 주어졌습니다.
심사위원들은 “참신한 주제 선정과 실현 가능성이 인상적이었다”고 평가하며, 참가자 모두가 국제사회의 미래를 이끌 청년 리더로 성장할 가능성이 충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격려의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Following the presentations, certificates were awarded to all participants.
The judging panel praised the students’ innovation and teamwork, and noted that “every participant demonstrated the qualities of a future global leader.”
Special awards, including exclusive opportunities, were presented to Team 2, the grand prize winners.


4박 5일간 이어진 교육 과정은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학생들이 자신의 목소리로 세상을 향해 이야기할 수 있는 힘을 키우는 여정이었습니다.
이 여정을 함께 해준 모든 학생, 강연자, 학부모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제23기 학생들이 앞으로도 글로벌 문제 해결의 주체로 성장해 나가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Over five days, students were not just learners?they became advocates for a better world, equipped with knowledge, empathy, and purpose.
We sincerely thank all students, speakers, partner organizations, and families for making this program a success.
We look forward to the future paths these young global citizens will pave.